본문 바로가기
머니마니

2018 연봉 실수령액 월급여 알아보기

by blaaah 2018. 1. 30.
반응형


올해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연봉 인상에 대한 기대감이 높을 듯한데요, 연봉협상 전에 "2018 연봉 실수령액과 월급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미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봉은 일년 동안 받는 급여의 총합으로, 상여금이나 퇴직금 등이 포함된 금액을 말합니다. 하지만, 실수령액은 4대보험과 소득세, 주민세 등을 공제한 금액을 받게 되죠.



다음은 2018년부터 달라진 4대보험 요율이 반영된 연봉 실수령액표인데요, 올해부터 인상된 건강보험(6.24%)과 장기요양보험(7.38%)를 반영했으며, 소득세와 주민세는 2017년 2월에 개정된 근로소득간이세액표를 참고해서 계산했습니다.


지금부터 1천만원부터 1억원까지 금액대별로 연봉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표로 살펴볼 텐데요, 정확한 금액은 하단에 있는 연봉계산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 2018 연봉 실수령액, 월급 실수령액


연봉 2,000만원대 전후로 사회초년생인 분들이 많이 해당되실 텐데요, 월급 실수령액이 150만원을 넘기 위해서는 연봉이 2,000만원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작년 평균 연봉이 3,360만원이라고 하는데요, 4대보험과 세금을 공제한 실급여액은 250만원 정도입니다. 높은 금액인 줄 알았는데, 실수령액은 통계청에서 발표한 1인 가구 평균소득과 비슷한 금액이네요.



회사 내 부장급 이상의 연봉이 될 듯한데요, 6,000만원이면 월급여 실수령액이 420만원입니다. 급여를 400만원 이상 받기 위해서는 연봉이 5,700만원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연봉이 7,000만원 이상이면 고액 연봉자에 해당하는데요, 작년 기준 우리나라 상위 9%에 속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상위 3%에 속하는 꿈의 연봉인 1억입니다. 월급 실수령액은 660만원이며, 빠져나가는 금액도 만만치 않네요.


위의 금액은 "부양가족수 1명, 비과세액 10만원" 기준으로 산출했습니다. 별도 수당이나 부양가족수, 20세 이하 자녀수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니, 좀 더 정확한 금액은 다음의 연봉계산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 연봉계산기


1. "사람인" 홈페이지에 있는 연봉계산기를 이용할 텐데요, 메인화면 상단에 있는 메뉴 중에서 "자료통"으로 이동한 다음, "연봉계산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사람인: http://www.saramin.co.kr/



2. 연봉이나 월급을 입력한 다음, 퇴직금 포함 여부와 부양가족수, 20세 이하 자녀수, 비과세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연봉 2,000만원일 때를 계산한 결과인데요, 위의 연봉 실수령액표와 결과가 다르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0원대 이하 금액이 다른 이유는 반올림 계산 차이로 생긴 결과입니다.



2018 연봉 실수령액과 월급 실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개인차가 있을 수 있으니 연봉협상 시 참고만 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