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을 떠나기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것 중의 하나가 화폐단위인데요, 특히, 쇼핑을 하거나 환전할 때 필요하죠. 지금부터 헷갈리기 쉬운 세계 각국의 화폐단위와 명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나라마다 공식적으로 지정하여 사용하는 돈을 통화라고 하며, 이를 화폐단위로 표시합니다. 외형상 지폐와 동전, 두 종류로 나뉘는데요, 일반적으로 큰 단위를 구성하는 지폐 위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달러(U.S Dollar)
미국의 통화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국제통화입니다. 기호는 "$"이며, 1달러는 100센트에 해당합니다. 지폐는 1, 2, 5, 10, 20, 50, 100달러, 동전은 1, 5, 10, 25, 50센트가 사용됩니다.
달러는 미국 외에도 캐나다, 홍콩 등 영어권 국가에서 사용하는 단위이기도 한데요, 미국과 동일하게 "$"로 표기하며, 구분할 때는 앞에 나라별 이니셜을 넣어서 캐나다는 "C$", 홍콩은 "HK$" 등으로 표기합니다.
세계 각국의 화폐단위는 일반적으로 나라마다 다르지만, 달러처럼 여러 나라가 같은 단위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2. 유로(Euro)
유럽 연합의 단일 통화 명칭으로, "€"로 표기됩니다. 현재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등에서 사용 중이며, 영국, 덴마크, 스웨덴 3개국은 불참하고 있습니다.
경험상 불참국을 여행할 때 대부분의 장소에서 사용 가능했으며, 거스름돈은 그 나라의 화폐로 돌려받게 됩니다. 영국에서 유로화로 결제하면 파운드로 거스름돈을 받게 되겠죠.
3. 파운드(Pound)
영국과 영국 왕실령의 공식 통화로, 정식 명칭은 파운드스털링(Pound sterling)입니다. 기호는 "£"이며, 1파운드는 100펜스에 해당합니다.
4. 원(Won)
1962년 6월 12일 통화개혁 이후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한국의 통화단위로, "₩"로 표시합니다. 원은 한자 "圓(둥글 원)"의 둥글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일본이나 중국도 같은 한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5. 엔(Yen)
일본의 화폐단위로, "¥"또는 "Y"로 표시됩니다. 엔(円)은 일본어로 둥근 모양, 원을 의미합니다.
6. 위안(Yuan)
중국의 법정 통화인 인민화폐의 단위로, 인민폐(런먼비)라고도 합니다. 일본의 엔화와 동일한 "¥"로 표기하며, 구분하기 위해서 가로선이 하나인 "Ұ"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7. 루블(Ruble)
러시아의 통화단위로, 기호는 P에 가로선을 하나 그은 "₽"를 사용합니다. 키릴문자 P는 영어의 R로 발음하며, 루블화(Ruble)의 첫 글자를 딴 것이라고 합니다.
8. 루피(Rupee)
인도 지역의 통화단위로, 인도, 스리랑카, 네팔, 파키스탄 등에서 통용되고 있습니다. 루피는 은을 뜻하는 산스크리트 "루피아"에서 유래했으며, "Rs" 또는 "₹"로 표기합니다.
9. 동(Dong)
베트남의 통화로, 기호는 "₫"를 사용합니다. 환율은 12월 4일자 기준으로 1달러에 22,713동이며, 한화로 1,088원입니다. 우리나라는 환전 수수료가 비싼 편이라 미국 달러로 바꾼 다음, 베트남 현지에서 환전하면 유리합니다.
종류도 많고, 지폐 모델이 모두 호찌민이라 사용할 때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화폐 가치가 낮아서 계산할 때 실수가 많은 편입니다.
10. 비트코인(Bitcoin)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온라인 가상화폐입니다. 단위는 "BTC"로 표기하며, 디지털 정보량의 기본 단위인 비트(bit)와 동전을 뜻하는 코인(coin)을 합친 단어입니다.
지금까지 세계 각국의 화폐단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여행 시 나라별 통화와 환율 등을 미리 체크해두면 좋을 듯합니다.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1월 1일 일출시간 지역별 안내 (0) | 2017.12.11 |
---|---|
스타벅스 카드 잔액이전 합치기 방법 (0) | 2017.12.08 |
우체국 등기번호 모를때 조회하는 법 (0) | 2017.12.04 |
고속버스시간조회 간편하게 확인해요 (0) | 2017.12.01 |
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 자가진단 방법 (0) | 2017.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