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니마니36

2017년 양도세율 개정안 참고하세요 양도란 자산을 매도, 교환, 법인에 대한 현물출자 등으로 유상 이전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이때 발생한 차익에 대한 세금을 양도소득세라고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양도세 계산에 필요한 2017년 양도세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양도세는 양도차익에 장기보유공제액과 기본공제액을 공제하여 과세표준을 계산한 다음,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해서 산출하면 됩니다. 하지만, 총납부세액은 산출세액에 지방세(양도소득세의 10%)를 더해야 합니다. 양도소득세=[양도차익(양도가액-취득가액-필요경비)-장기보유공제-기본공제]×세율-누진공제액 기본공제는 인별, 자산별로 연간 250만원(연 1회, 250만원) 공제받을 수 있으며, 미등기 양도자산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부동산 거래 시 신경 쓰이는 부분 중의 하나인데요, 세율이 어떻게 .. 2017. 10. 15.
타행 OTP 등록 방법 따라해요 기존에 보안카드를 사용하다가 불편해서 OTP로 바꿨는데요, OTP 하나만 있으면 전 금융기관에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더라구요. 그럼, 지금부터 타행 OTP 등록 방법을 알아볼게요. OTP는 One Time Password의 약자로, 일회용 패스워드를 말합니다. 종류는 토큰형과 카드형 두 가지로, 발급비용은 5,000원, 10,000원입니다. 고민하다 토큰형으로 선택했는데 카드형으로 할 걸 하고 후회되네요. 전 국민은행에서 발급받은 OTP를 신한은행에 등록할 건데요, 타행 OTP 등록 시 직접 은행을 방문해도 되고, 인터넷뱅킹을 이용해도 됩니다. 등록 방법은 은행마다 비슷하니까 참고하시면 될 듯합니다. 1. 신한인터넷뱅킹에 접속한 다음, 상단에 있는 사용자관리를 선택해 주세요. 2. 그런 다음, 인터넷뱅킹.. 2017. 8. 23.
LTV, DTI, DSR 요약 정리 8. 2 부동산 대책으로 투기수요를 잡기 위해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이 다시 지정되었는데요, 특히, LTV, DTI 40%가 적용되면서 주택대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듯합니다. 오늘은 비슷한 듯 다른 LTV, DTI, DSR 용어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LTV는 담보에 대해서, DTI와 DSR은 연소득에 따라 대출한도가 정해집니다.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의 LTV, DTI 규정이 강화되지만, 실수요자의 경우 LTV, DTI 비율이 10% 완화되어 적용된다고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LTV, DTI, DSR 용어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볼게요. 1. LTV(Loan To Value Ratio): 주택담보대출비율주택을 담보로 대출받을 때 자산의 담보가치 대비 대출금액의 비율을 말합니다. 즉, 집.. 2017. 8. 20.
재산세 계산기 재산세율 확인해요 곧 재산세 9월 정기분 납부시기가 다가오는데요, 다음 달에는 주택분 1/2과 토지분을 납부하면 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재산세 계산기 이용 방법과 재산세율을 알아볼게요.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과세되며, 7월과 9월에 나누어서 고지됩니다. 7월 정기분은 주택(1/2), 건축물, 선박, 항공기가 대상이며, 9월 정기분은 주택(1/2), 토지가 대상입니다. 재산세 계산 방법은 과세표준에 재산세율을 곱하면 되는데요, 과세표준은 시세가 아닌 시가표준액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시가표준액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하면 됩니다. 재산세=[과세표준(시가표준액×공정시장가액비율)×세율]-누진공제액 공정시장가액비율과 누진공제액 등의 세율이 궁금한 분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주세요.2017/06/20 - [머니마니] .. 2017.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