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사고팔다 보면 나도 모르게 수수료나 세금이 빠져나가는데요, 주식 수수료가 무료인 줄 알고 별 생각 않고 거래했다가 낭패를 보기도 하죠. 국내 주식 거래 시 증권사 수수료 외에 유관기관 수수료, 증권거래세가 빠져나가는데요, 이때 발생하는 비용이 얼마인지 주식 수수료 계산 방법으로 미리 확인해 볼게요.
국내 주식 수수료 및 세금 종류
1. 주식 거래 수수료(위탁거래 수수료, 증권사 수수료)
주식 거래 시 증권사를 이용하는 대가로 내는 수수료를 말하는데요, 주식을 사고팔 때 내게 됩니다. 수수료율은 증권사마다 다르며, 계좌 개설 방식이 대면이냐 비대면이냐에 따라서도 달라지죠. 보통 HTS나 MTS 기준 0.015% 정도입니다.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 서비스 사이트에서 증권사별 거래 수수료를 직접 비교해 볼 수 있는데요, 금융투자회사 공시> 금융투자회사 수수료 비교> 주식거래 수수료 이동하면 됩니다.
2. 유관기관 수수료
증권사가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에 납부하는 수수료인데요, 한국거래소 0.0027209%, 한국예탁결제원 0.0009187%로 정해져 있으며, 둘을 합친 0.0036396%의 수수료가 적용됩니다.
한국거래소 0.0027209%+한국예탁결제원 0.0009187%=0.0036396%
하지만, 실제 적용되는 수수료율은 증권사마다 다르며, 0.003%~0.005% 수준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현재 삼성증권, 미래에셋, 한국투자증권이 0.0036%로 제일 낮은 듯하네요.
3. 증권거래세
주식을 매도할 때 내는 세금으로, 매도 가격 기준으로 부과되는데요, 이익이나 손실에 상관없이 내야 하며, 원천징수됩니다. 코스피는 0.08%에 농어촌특별세 0.15%가 추가되며, 코스피는 0.23%가 적용됩니다. 편하게 둘 다 0.23%로 기억하면 될 듯하네요. 참고로 2023년에는 코스피는 증권거래세가 폐지되고, 코스닥은 0.15%로 낮아질 예정입니다.
코스피=매도금액×(증권거래세 0.08%+농어촌특별세 0.15%)
코스탁=매도금액×증권거래세 0.23%
2022년 | 2023년 | 농어촌특별세 | |
코스피 | 0.08% | 0.00% | 0.15% |
코스닥 | 0.23% | 0.15% | - |
코넥스 | 0.10% | 0.10% | - |
기타 | 0.43% | 0.35% | - |
이외 주식 거래 시 발생하는 세금은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가 있습니다.
국내 주식 수수료 계산 방법 확인
1. 매수 시: 주식 거래 수수료+유관기관 수수료
50,000원 하는 코스피 주식을 10주 매수 시, 주식 거래 수수료 0.015%, 유관기관 수수료 0.0036%으로 가정하면
주가 | 주식수 | 매수금액 | 수수료율 | (*1원 단위 절사) | |
주식 거래 수수료 | 50,000원 | 10주 | 500,000원 | 0.015% | 75원(70원) |
유관기관 수수료 | 0.0036% | 18원(10원) | |||
합계 | 80원 |
계산 상 매수 시 발생하는 비용이 80원(1원 단위 절사)인데요, 보통 증권사에서 적용하는 주식 거래 수수료에 유관기관 수수료가 포함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주식 거래 수수료인 0.015%인 70원만 빠집니다.
하지만, 계좌 개설 시 "평생 수수료 무료"라는 이벤트로 가입한 경우, 주식 거래 수수료만 빠지고 유관기관 수수료는 내야 합니다. 수수료가 없는 줄 알았는데, 금액이 빠져나간 경우겠죠. 이런 경우라면 10원이 빠져나갑니다.
유관기관 수수료는 주의사항에 별도로 표시된 경우가 많으니 꼼꼼히 살펴보세요.
2. 매도 시: 주식 거래 수수료+유관기관 수수료+증권거래세
50,000원 하는 코스피 주식이 20% 올라 60,000원에 10주 매도 시, 주식 거래 수수료 0.015%, 유관기관 수수료 0.0036%, 증권거래세 0.08%, 농어촌특별세 0.15%으로 가정하면
주식 | 주식수 | 매도금액 | 수수료율 | ||
주식거래수수료 | 60,000원 | 10주 | 600,000원 | 0.015% | 90원 |
유관기관수수료 | 0.0036% | 21원(20원) | |||
증권거래세 | 0.08% | 480원 | |||
농어촌특별세 | 0.15% | 900원 | |||
합계 | 1,490원 |
매도 시 1,490원이 빠져나가야 하지만, 실제 금액은 유관기관 수수료가 빠진 1,470원입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무료 혜택을 받는 경우라면 주식 거래 수수료가 빠진 1,400원입니다.
따라서 매매 시 발생하는 주식 수수료는 살 때 70원(또는 10원), 팔 때 1,470원(1,400원), 총 1,540원(1,410원)입니다. 간혹 주식 거래 수수료와 유관기관 수수료가 모두 면제되는 경우도 있으니, 거래 내역을 확인해 보세요. 제 계좌 중 하나도 한시적이긴 하지만, 완전 무료라 증권거래세만 낸 경우도 있네요.
주식 거래를 할 때 발생하는 주식 수수료 계산 방법인데요, 매도, 매수 시 얼마의 비용이 발생하는지 미리 확인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평생 수수료 무료라도 대부분 유관기관 수수료는 내야 한다는 점, 증권거래세는 손해를 봐도 내야 한다는 점, 기억하세요.
'머니마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팩주 뜻, 장단점, 스팩 공모주 청약 방법 (1) | 2022.02.28 |
---|---|
2022년 2월 공모주 청약 일정 및 IPO 종목 알아보기 (0) | 2022.02.03 |
헷갈리는 적금 이자 계산 방법 (0) | 2019.08.10 |
2019년 연말정산 신고기간 및 환급일 정리 (0) | 2018.12.08 |
주택연금 주택가격 시세 조회하기 (0) | 2018.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