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

가족 호칭과 친척 호칭 한번에

by blaaah 2017. 9. 12.
반응형


다음달이면 추석인데요, 친척을 만나면 호칭을 몰라 당황하게 되더라구요. 아버님 형제분의 아들의 부인인 건 알겠는데, 어떻게 불러야 할지 헷갈리는 거죠. 명절이나 가족모임에서 실수하지 않도록 가족 호칭과 친척 호칭을 미리 알아볼게요.



친척은 결혼과 혈연을 기초로 상호간에 관계를 가지는 사람을 말하는데요, 법률상의 친족 범위는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배우자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혈족은 자연혈족과 법정혈족이 있으며, 부모와 자녀, 형제자매, 숙질 등을 말합니다. 배우자 관계는 결혼에 의해 발생하며, 인척은 배우자의 혈족을 말합니다.





"나"를 기준으로 아버지 쪽의 친가는 "내척", 어머니 쪽의 외가는 "외척"으로 구분합니다. 결혼을 하면 아내 쪽의 처가와 남편 쪽의 시가가 추기되어 이를 "인척"이라고 합니다.


먼저 계촌표로 촌수를 알아본 다음, 가족 호칭과 친척 호칭을 친가, 외가, 처가, 시가 순으로 정리해 볼게요.



■ 계촌표

촌수는 친족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는 숫자 체계로, 부모와 할아버지, 직계 가족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짝수는 나와 같은 항렬이고, 홀수는 나의 위나 아래 항렬을 뜻합니다.


1. 친가 계촌표

나를 중심으로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부, 고조부의 남자형제들과 그 자손과의 관계를 말하는데요, 조, 숙, 형, 질, 손 등으로 세대를 표시하고, 종, 제종, 삼종 등으로 친한 정도를 나타냅니다.


조는 할아버지와 같은 항렬이며, 숙은 부모, 형은 나, 질은 나의 자녀, 손은 나의 손자와 같은 항렬입니다.


실제 직계는 촌수를 사용하지 않고 세(世)나 대(代)를 쓰며, 방계 간에만 촌수 계산법을 사용합니다. 자신의 형제는 2촌, 형제의 자녀인 조카는 3촌, 조카의 자녀인 종손은 4촌이며, 아버지의 형제인 백부나 숙부는 3촌이 됩니다.


직계: 할아버지, 아버지, 아들, 손자와 같이 조부로부터 손자까지 바로 이어지는 관계

방계: 형제, 조카 등과 같이 공통의 조상으로부터 갈라지는 관계



2. 내종 계촌표

나를 중심으로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부, 고조부의 여자형제들과 그 자손의 관계를 말합니다.



3. 외가 계촌표

나와 어머니, 외할아버지, 외증조부, 외고조부의 형제들과 관계, 그 자손들과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 친척 호칭표

같은 촌수라도 친가인지, 외가인지, 남자형제인지, 여자형제인지에 따라서 부르는 호칭이 달라지는데요, 아버지의 남자형제의 자식은 종형제, 여자형제의 자식은 내종형제라고 부릅니다.


여자의 경우 시가의 촌법은 남편의 촌법에 "시"자를 붙이고, 남자의 경우 처가의 촌법은 부인의 촌법에 "처"자를 붙이면 됩니다. 시누이의 남편은 시매부, 아내의 큰아버지는 처백부입니다.



1. 친가

호칭

관계

호칭

관계

증조할아버지, 증조부

할아버지의 아버지

증조할머니, 증조모

할아버지의 어머니

할아버지

아버지의 아버지 

할머니

아버지의 어머니

며느리

아들의 아내

사위

딸의 남편

형수

형의 부인

제수

아우의 부인

매형, 자형

누이의 남편

매제, 매부

누이동생의 남편

큰아버지, 백부

아버지의 큰형

큰어머니, 백모

아버지의 형수

작은아버지, 숙부

아버지의 동생

작은어머니, 숙모

아버지의 제수

조카

형, 동생의 아들, 딸

조카며느리

조카의 아내

당숙

아버지의 사촌형제

 당숙모

아버지 사촌의 부인

재당숙

아버지의 육촌형제

재당숙모

아버지 육촌의 부인

종조부

할아버지의 형제

종조모

할아버지의 형수, 제수

종형제

아버지의 조카

종수

아버지의 조카며느리

당질

사촌의 아들

당질부

사촌 아들의 아내

종손

조카의 아들

재종손

육촌의 손자

고모

아버지의 여자형제

고모부

고모의 남편

당고모

아버지의 사촌누이

재당고모

아버지의 육촌누이

내종형제, 고종

고모의 아들, 딸

대고모

아버지의 고모



2. 외가

호칭

관계

호칭

관계

외할아버지

어머니의 아버지

외할머니

어머니의 어머니

외삼촌, 외숙

어머니의 남자형제

외숙모

외삼촌의 부인

외사촌

외삼촌의 아들, 딸

외종수

외삼촌의 며느리

외당질

외사촌의 아들, 딸

외질당부

외사촌의 며느리

이모

어머니의 여자형제

이모부

이모의 남편

이종

이모의 아들, 딸

이종수

이모의 며느리

이질, 이질네

이종의 아들, 딸

이질부

이질의 아내



3. 처가

호칭

관계

호칭

관계

장인

아내의 아버지

장모

아내의 어머니

처백부

아내의 큰아버지

처백모

아내의 큰어머니

처숙부

아내의 작은아버지

처숙모

아내의 작은어머니

처남

아내의 남자형제

처남댁

처남의 부인

처조카

처남의 아들, 딸

처조카며느리

처조카의 아내

처형

아내의 언니

처제

아내의 여동생

동서

아내 여형제의 남편

 

 



4. 시가

호칭

관계

호칭

관계

시아버지

남편의 아버지

시어머니

남편의 어머니

시숙, 시아주버니

남편의 형

동서

남편 형제의 부인

시동생

남편의 아우

시누이

남편의 자매



5. 사돈

호칭

관계

호칭

관계

사돈

바깥사돈

사부인

안사돈

사장

사돈의 부모에 대한 존칭



노사장

사돈의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

노사부인

안사돈의 어머니 또는 할머니

사돈도령, 사돈총각

사돈의 미혼 아들

사돈아가씨, 사돈처녀

사돈의 미혼 딸


동서는 아내 자매의 배우자나 남편 형제의 배우자 사이에서 쓰는 호칭인데요, 동서끼리는 자신의 나이와 상관없이 배우자 집안의 형제, 자매의 나이에 따라서 손위, 손아래가 정해집니다. 나보다 나이가 어려도 손윗동서는 형님, 나이가 많아도 손아래는 동서라고 부릅니다.


누나의 남편은 매형이나 자형, 여동생의 남편은 매제나 매부라고 부르며, 처의 오빠나 남동생은 처남, 처남의 부인은 처남댁이라고 하면 됩니다. 그리고 시동생의 부인은 남편 형제의 배우자니까 동서이며, 남편의 매형, 즉 시누이의 남편은 시매부로 아주버님이라고 부르면 됩니다.


남편의 사촌형도 남편의 형과 마찬가지로 시숙이나 시아주버님, 사촌형의 부인은 손윗동서니까 형님이라고 불러야 합니다. 그리고 시댁의 시동생이 기혼이면 서방님, 미혼이면 도련님, 시누이는 아가씨라고 부르면 됩니다.



좀 더 자세한 가족 호칭이나 친척 호칭이 궁금하신 분은 "국립국어원"에서 펴낸 표준 언어 예절을 참고하세요. "자료 찾기>연구 결과> 연구 보고서"로 이동한 다음, "표준 언어 예절(2011)-가정에서의 호칭, 지칭"을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